빛가람 KEPCO 시대,
10년의 발자취
한국전력의 본사 나주 이전으로 빛가람시대가 개막한 지 10년이 되었다. 허허벌판과 같았던 나주 빛가람동에서 땀방울과 눈물을 쏟으며 새로운 전력사업의 역사를 써온 한전의 10년 발자취를 돌아본다.
2014
본사 나주 이전 완료,
“빛가람 KEPCO 시대” 개막
본사가 전남 나주 빛가람 혁신도시로 이전을 완료함에 따라 삼성동 본사 시대가 막을 내리고 빛가람 KEPCO 시대가 개막했다. 2005년 국토 균형발전을 위한 정부 공공기관 지방 이전계획이 발표되고 151개 공공기관의 전국 10개 혁신도시로의 이전이 결정된 후 우리 회사는 지방 이전계획의 정부 승인 및 변경을 거쳐 2011년 7월 친환경 명품 에너지 사옥 건설의 첫 삽을 떴다. 그리고 2014년 10월, 40개월여 간의 공사를 거쳐 나주 본사 신사옥이 준공됐으며 그해 12월, 이전을 완료했다.


2015
요르단 암만 아시아 디젤 발전소 준공 및 푸제이즈 풍력사업 PPA 체결
요르단에서 우리 회사는 전 세계 디젤 발전소 중 최대 규모인 574MW급 암만 아시아 디젤 내연발전소를 준공했다. 발전소는향후 25년간 약 15억 달러의 매출이 전망되며, 설비용량은 세계 최대 규모로 기네스북에 등재됐다. 한편 우리 회사는 요르단 푸제이즈 풍력사업 전력판매계약을 체결한 후 ESS를 활용한 홋카이도 태양광 사업 시장에도 진출함으로써 글로벌 신재생에너지 시장 진출을 가속화했다.
2016
Forbes 선정 글로벌 전력회사 1위
우리 회사가 글로벌 100대 기업에 진입해 세계 최고 수준의 기업으로 당당히 인정받았다. 2016년 5월 25일 발표된 Forbes 글로벌 2000 순위에서 우리 회사는 종합순위 97위, 전력 유틸리티 분야 1위를 달성했다. 이는 아시아 전력회사 중 최초로 전력회사 1위를 달성한 것으로 대한민국의 위상을 높이고 세계 시장에서 한전의 저력을 입증한 쾌거다.


2017
동남아 에너지벨트 구축, 해외 신재생사업 등 세계무대서 선전!
우리 회사는 베트남 국제입찰 석탄화력 사업인 응이손2 1,200MW 사업 계약을 체결함으로써 베트남에 첫발을 디뎠다. 말레이시아 풀라우인다 1,200MW 가스복합 공동사업자로 현지 정부의 승인을 획득하여 말레이시아 발전사업 진출에도 성공했다. 이로써 필리핀에 이어 베트남과 말레이시아를 잇는 동남아 에너지벨트 구축을 위한 기반을 확보했다. 아울러 우리 회사가 최초로 추진한 해외 태양광 개발사업인 일본 치토세 28MW 태양광발전소도 준공됐다. 일본 치토세 태양광발전소는 우리 회사 최초의 해외 태양광 개발사업이며, 개발에서 건설, 운영까지 전 과정 밸류체인을 완성한 ESS 융·복합형 태양광 발전소로 의미가 깊다.
2018
평창올림픽 성공적 지원
세계인의 축제인 2018 평창동계올림픽(2.9~2.25)과 2018 평창동계패럴림픽(3.9~3.18)에 우리 회사는 한 건의 정전도 없는 무결점 전력공급으로 성공적 행사 개최에 기여했다. 우리 회사는 정전 없는 동계올림픽을 위해 2015년부터 모두 1,509억 원을 투자해 올림픽 전력설비 인프라를 구축하고 본사와 강원지역본부에 전력확보 종합상황실을 운영해 24시간 비상근무체제를 가동했다. 또한, 첨단 전력ICT 감시 시스템을 구축, 대회기간 중 한 건의 정전도 없는 무결점 전력공급을 달성했다.


2019
765kV 신중부변전소 및 송전선로 준공
우리 회사는 2011년부터 시작된 8년여의 765kV 신중부에너지센터와 송전선로 건설사업을 성공적으로 마무리하고 상업운전에 돌입했다. 이로써 당진·태안·보령화력 등 서해안발전전력을 중부지역에 직접 공급할 수 있게 되어 중부권 계통 안정화뿐 아니라 수도권 융통선로의 역 전력흐름 개선을 통해 연간 약 400억 원의 계통 손실비용을 절감할 수 있게 됐다.
2020
우리사주 100만 주 돌파
우리사주조합이 보유하는 주식이 2월, 100만 주를 돌파했다. 2018년 11월 12일 설립된 한국전력 우리사주조합은 2019년에는 전력그룹사까지 외연을 확대하여 2020년 2월 말 기준 조합원 수 14,101명, 누적 총 매입 주식 수 1,135,891주를 기록했다.


2021
국내 최초 신재생센터 제주에 준공
우리 회사는 국내 최초로 신재생에너지를 종합 감시·운영하는 ‘제주 신재생센터’ 개소식을 열고 본격적인 운영에 돌입했다. 제주 신재생센터는 제주지역의 신재생에너지를 효율적으로 관리하고 안정적인 전력계통을 운영하기 위해 구축된 국내 최초 전용 센터다. 신재생센터의 본격적인 운영으로 향후 전력계통 운영에 문제가 예상될 경우 사전에 전력설비 운영대책을 수립해 신속하게 대응할 수 있으며, 전력설비 이용률을 극대화하고 신재생에너지를 안정적으로 확대하게 됐다.
2022
해외 송전망 건설 및 운영사업 최초 진출 UAE HVDC 해저송전망
사업 계약 체결
우리 회사는 아랍에미레이트(UAE)의 아부다비 국영석유회사(ADNOC)와 국영에너지회사(TAQA)가 발주한 초고압 직류(HVDC) 해저 송전망 건설 및 운영사업에 대한 국제 경쟁입찰에서 유수의 경쟁사를 제치고 낙찰자로 선정되어 12월 22일 오후 2시(한국 시각) 계약을 체결했다. 이 프로젝트는 ADNOC의 해상유전시설에 지속가능한 전력을 공급하기 위해 2개 구간 총 연장 259km에 달하는 해저송전망을 건설한 후 이를 35년간 운영하는 사업이다. 총 사업비는 약 4조 2천억 원 규모이며, 발주처와 장기 송전계약 체결로 35년의 사업기간 동안 안정적인 수익 창출이 기대되는 메가 프로젝트다.


2023
345kV 고덕#2 -서안성T/L 프로젝트 준공
우리 회사는 지난 9월 12일 삼성전자 평택 캠퍼스의 안정적인 전력공급과 경기 남부지역 전력계통 보강을 위한 ‘345kV 고덕-서안성 송전선로 건설사업’ 준공 기념식을 개최했다. 이번 사업은 2013년 8월 제6차 송변전설비계획에서 최초 계획이 수립되어 경기도 용인시·안성시· 평택시 등 3개 지자체와 9개 읍·면·동을 경과하는 선로 길이 총 23.5km(가공 10.2km(철탑 35기), 지중 13.3km)의 대규모 건설 프로젝트다. 최초 계획 수립 약 7년 만인 2020년 7월(산업부 전원개발사업 실시계획 승인) 본격적인 공사에 착수했고, 적기 프로젝트 완수를 위한 각고의 노력 끝에 공사 기간을 약 8개월 단축시켜 마침내 사업을 준공했다.
2024
UAE 바라카원전 4호기 성공적 상업운전 개시
UAE 바라카원전 4호기가 9월 5일 성공적으로 상업운전을 개시했다. UAE원전 4호기는 지난 2023년 11월 원자력규제기관(FANR)으로부터 운영허가를 취득하여 같은 해 12월 연료장전을 완료했으며, 약 8개월간의 시운전 시험을 마치고 본격적인 상업운전에 돌입했다. UAE원전 1,2,3호기는 현재 안정적으로 전력 생산 중에 있으며, 이어 4호기도 상업운전에 착수함으로써 한국의 시공 능력과 UAE의 사업관리, 운영 능력을 전 세계에 입증하는 계기가 됐다.

2024
사우디, 괌에서 태양광 발전 사업 2개 연속 수주
우리 회사는 사우디 전력조달청(SPPC)이 국제입찰로 발주한 사우디 Round 5 Sadawi 태양광 건설·운영 입찰사업의 낙찰자로 선정되어 전력판매계약 체결을 앞두고 있다. 또한, 미국 괌 전력청이 발주한 ESS 연계 태양광발전소 건설·운영 입찰사업에서도 낙찰자로 선정되며 태양광 발전사업을 2개 연속 수주하는 쾌거를 달성했다.

2024
2024 정부혁신 왕중왕전 대통령상 수상
우리 회사는 12월 14일 광주 김대중컨벤션 센터에서 개최된 행정안전부 주관 ‘2024 정부혁신 왕중왕전’에서 역대 최초로 대통령상을 수상했다. 이번 왕중왕전은 범정부적 혁신문화 조성을 위해 탁월한 성과를 보인 혁신 우수기관을 선정, 포상하는 대회로 우리 회사는 ‘AI기반 전력·통신·수도 빅데이터를 활용한 고독사 예방 서비스 제공’ 사례를 출품해 대통령상을 수상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