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이프스 게임(Life’s Game)에 참가한 12명의 회사원 여러분 환영합니다.” <라이프스 게임>은 그런 익숙한 멘트와 함께 시작한다. 게임 예능을 좋아하는 분들이라면 <더 지니어스>나 <데블스 플랜> 같은 프로그램을 떠올렸을 게다. 하지만 이어지는 멘트는 이 프로그램이 LG그룹에서 만들었다는 사실을 드러낸다. “지금부터 LG그룹 최고의 플레이어를 가리는 두뇌 전략 서바이벌 게임을 시작하겠습니다.” 그래서 기업 홍보 프로그램이 아닌가 싶지만, 12명의 출연자들의 이력이 소개되면서 또 한 번 이 프로그램이 두뇌 서바이벌 게임이라는 걸 실감하게 된다.
4년 동안 방탈출 관련 게임을 제작한 방탈출 전문가(룸메이커), 연세대 공대 출신의 명석한 두뇌와 남다른 승부욕의 소유자(공대승부사), 초등학교, 중학교, 고등학교 시절에 출연할 수 있었던 세 번의 TV퀴즈쇼 프로그램에서 모두 장원을 차지한 경험(쓰리장원), 라스베이거스 여행 시 대회 입상까지 했던 아마추어 카드게임 플레이어(포커페이스), 멘사 테스트 상위 1% IQ의 멘사 기획위원회 부위원장(멘부장), 인생 자체가 커뮤니티라는 커뮤니티 덕후(커뮤니퀸), 변리사(아이피맨), 해킹대회 파이널리스트 출신 화이트 해커이자 전략 카드 게임 랭커(시크릿코드), 4년간 두뇌게임을 기획, 운영했던 인물(히든코난), 전사 판매 상위 1% 판매 대명장(영업왕), 포브스 선정 아시아의 영향력 있는 30세 이하 리더 30인에 선정된 인물(포브스트), 방탈출 월드 챔피언십 대한민국 국가대표(석호필). 이력만 보면 시청자들 사이에서 “진짜 LG 직원 맞아요?” 하는 반응들이 왜 나오는가를 알 수 있다. 룰 자체를 인지하기도 쉽지 않은 게임을 척척 풀어나가는 명석한 두뇌는 물론이고, 이런 게임 예능에 빠지지 않는 정치와 소통에 있어서도 연합과 배반을 오가는 흥미로운 전개를 보여준다. 카메라가 너무 많아 난감하다는 초기 반응들과 달리, 프로그램이 진행되며 자연스러운 리액션은 방송의 차원에서도 진짜 <더 지니어스> 같은 완성된 느낌을 준다.
서바이벌의 핵심이랄 수 있는 게임들도 전문회사인 더플레이컴퍼니와 협업함으로써 어디서도 보지 못했던 새로운 게임의 신박함이 더해졌다. 다소 복잡한 룰이 진입장벽처럼 여겨지지만, 시청자들은 인터넷에 올라온 룰을 매뉴얼처럼 챙겨보면서 프로그램에 빠져들었다. 그만큼 재미가 있었다는 뜻이다. 결국 반응은 상상을 초월하는 조회수로 돌아왔다. 처음 3화까지 공개된 후 유튜브에서 100만 회 조회 수를 기록하더니 매회 조회수를 갱신해 10화 공개 이후에는 1300만 조회 수를 기록했다. 여기에 SNS와 기타 채널을 합해 통합 조회 수 3000만 회를 돌파한 것이다. 그만큼 뜨거운 반응들이 터져 나온 것인데, 이러한 인기에 힘입어 <라이프스 게임>은 이례적으로 국내 OTT 웨이브에서 서비스를 시작했다. 기업 홍보 콘텐츠로 만들어진 것이지만 일반 대중들도 즐길 수 있는 콘텐츠로서 인정받았다는 걸 말해준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