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20V 승압사업 대역사의 시작
2005년 11월 한전은 1973년부터 32년에 걸쳐 추진해 온 220V 승압사업을 성공적으로 완료했다. 220V 승압사업은 가정용 전력의 전압을 110V에서 220V로 높이는 프로젝트다. 1970년대 초 당시 남한의 가정용 전력은 110V가 표준전압이었다. 1973년부터 강원도 명주(현 강릉시로 통합)와 삼척지역 3,000호를 시발점으로 220V 승압사업이라는 대역사의 첫발을 내디뎠다.
이는 급격한 인구 증가와 도시화로 인해 전기 사용량이 늘어나면서 장기적인 관점에서 승압사업이 필요하다는 혜안에 따른 결정이었다. 총 투자비 1조 4천억 원에 연인원 757만 명이 투입된, 당시로서는 엄청난 도전이었다. 규모가 큰 만큼 반대도 컸다. 이제 겨우 제한 송전을 해제할 만큼 아직도 전원개발에 투자해야 할 게 많아 시기상조라는 의견도 있었고, 전압상승에 따른 감전 등 안전 문제와 기존에 사용하고 있던 110V 가전제품의 처리 방법도 문제였다.
이에 한전은 본격적으로 승압을 추진하기에 앞서 전자업체에 110V와 220V 겸용 가전기기의 생산과 보급을 요청하고 추가 비용을 보상키로 했다. 그리고 기기 개조, 교환, 강압기 지급 등 다양한 정책으로 국민의 협조를 이끌어냈다. 또 안전 문제는 누전차단기의 개발과 적용으로 대책을 마련했다. 또한 110V와 220V를 겸용케 하는 승압 방식의 탄력적 운영 등 시기적절하고 유연한 정책 전환을 통해 승압사업을 성공적으로 추진해 나갔다.
그로부터 32년이 지난 2005년 11월, 마침내 전국 모든 가정을 대상으로 한 220V 승압이 완료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