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래를 밝히는 글로벌 에너지

해외사업

지속 가능한 발전을 위해 글로벌 전력 네트워크를
구축하고, 에너지 전환과 탄소 감축을 목표로
신사업 확대와 수주 경쟁력 강화를 실현하고 있습니다.

해외사업 현황

총 발전 설비용량
28,655 MW
지분기준
9,271 MW
대륙 이미지
유럽 & 아프리카 지사
중동지사
중국지사
동남아지사
일본지사
북미지사
사우디아라비아 사우디아라비아
  • 가스 1,204 MW 라빅
  • 열병합 317 MW 자푸라
  • 화력 3,780 MW 루마/나이리야
  • 태양광 2,000 MW 사다위
요르단 요르단
  • 가스 373 MW 알 카트라나
  • 가스 573 MW 암만
  • 풍력 89 MW 푸제이즈
아랍에미리트 아랍에미리트
  • 원자력 5,600 MW 바라카
  • 가스 1,600 MW 슈웨이핫S3
  • 해저송전망 아부다비
중국 중국
  • 가스 8,350 MW 산서
  • 신재생 2,298 MW 산서
  • 풍력 등 1,024 MW 내몽고 등
말레이시아 말레이시아
  • 가스 1,200 MW 풀라우인다
베트남 베트남
  • 석탄 1,200 MW 응이손
  • 석탄 1,200 MW 붕앙
필리핀 필리핀
  • 석탄 200 MW 세부
  • 디젤 129 MW SPC
  • 태양광 50 MW 칼라타간
인도네시아 인도네시아
  • 석탄 2,000 MW 자바9&10
일본 일본
  • 태양광 28 MW 치토세
미국 미국
  • 가스 198 MW 괌 우쿠두
  • 태양광 235 MW 캘리포니아
  • 태양광 60 MW 괌 망길라오
  • 태양광 132 MW 괌 요나
멕시코 멕시코
  • 가스 433 MW 노르떼2
  • 태양광 294 MW 오루스 등

발전사업

세계 최고 수준 발전소 사업역량을 통해 글로벌 전력 네트워크를 구축하고 있습니다.

화력사업

01 화력사업

노르떼Ⅱ(433MW)를 시작으로 베트남, 인도네시아, 말레이시아에서 대규모 발전소 사업을 진행하여, 안정적인 수익을 창출하고 있으며, 건설, 기자재, 금융 등 국내기업의 해외 동반진출도 견인하는 글로벌 사업 리더 역할을 하고 있습니다.

원자력 사업

02 원자력 사업

APR1400은 EUR 인증(2017년)과 NRC 인증(2019년)을 받은 한국의 대표 수출형 원전입니다. UAE에 수출된 1~4호기는 각각 2021년 4월, 2022년 3월, 2023년 2월, 2024년 9월에 상업운전을 시작하여 24시간 청정전력을 안정적으로 생산하고 있습니다.

신재생에너지사업

03 신재생에너지사업

2005년 중국에서 풍력사업을 시작해 현재 1,017MW를 운영 중이며, 2013년 중동으로 확대해 2019년 상업운전을 시작한 푸제이즈 풍력사업을 100% 지분으로 개발했습니다. 일본 치토세(28MW), 미국 괌 망길라오(60MW), 캘리포니아(235MW) 태양광발전소를 통해 미국과 일본 시장에 진출했습니다. 또한, 2019년 멕시코 태양광발전소(294MW) 수주로 중남미로도 신재생 사업을 확장하는 등 청정 에너지 사업자로서의 지위를 확고히 하고 있습니다.

그리드 사업

송배전 기술로 세계를 연결하여, 글로벌 전력 인프라의 미래를 선도합니다.

해외 전력망 컨설팅/EPC사업

01 해외 전력망 컨설팅/EPC사업

우수한 기술력을 활용하고 현지 네트워크를 구축할 수 있는 컨설팅 사업을 통해 미얀마, 방글라데시, 에티오피아, 보츠와나, 타지키스탄 등에 진출하였으며, 컨설팅 사업을 통해 축적한 해외사업 수행역량을 바탕으로 EPC로 사업영역을 확대하여, 카자흐스탄, 부탄, 도니미카공화국 EPC 사업을 수행하였습니다.

해외 송배전 사업의 다각화

02 해외 송배전 사업의 다각화

미얀마, 필리핀 등에서 송배전 컨설팅을 시작으로, 카자흐스탄, 도미니카공화국, 인도 등에서 EPC 사업을 진행하며, 스리랑카, 필리핀, 괌, 우즈베키스탄 등에서 다양한 신사업을 추진하고 있습니다. 송배전 사업을 통해 축적된 기술, 인적 네트워크를 활용하여 단계별 후속사업을 확대하여 고부가가치를 창출하고, 국내기업과의 협업시스템을 구축하여 해외시장 동반진출을 실현해 나갈 계획입니다.

UAE HVDC 해저송전망 사업

03 UAE HVDC 해저송전망 사업

본연의 사업인 전력망 투자/운영 사업으로서 첫 해외사업이 된 UAE HVDC 해저송전망 사업은, 국내에서 30여년간 축적해온 HVDC 운영 기술의 우수성을 입증하고 장기간 안정적인 수익을 확보하는 기념비적인 사업이 될 것입니다. 이와같은 경험을 바탕으로 지속적으로 전력망 투자/운영사업 참여를 추진하여 KEPCO의 새로운 성장동력을 확보하고자 합니다.

에너지 신사업

신재생 에너지와 혁신적 기술로 글로벌 시장을 확장하여, 에너지 신사업의 미래를 선도합니다.

해외 신에너지시장 공략 본격화

01 해외 신에너지시장 공략 본격화

신재생 에너지와 신기술을 바탕으로 해외 에너지 신사업을 확장하고 있습니다. 주요 프로젝트로 온두라스와 모잠비크 마이크로그리드(MG) 구축, 인도네시아 지능형 전력계량 인프라(AMI) 구축, 자체개발 신기술 해외수출 추진사업 등이 있으며, 이를 통해 글로벌 에너지 시장을 선도하고 있습니다.

기후변화 대응과 미래 전략

02 기후변화 대응과 미래 전략

미얀마 쿡스토브 CDM(청정개발체제) 사업으로 2023년 탄소배출권 5.3만톤을 확보하였고, 방글라데시 식수설비 CDM 사업을 통해 탄소배출권을 지속적으로 확보할 예정입니다. 앞으로 융복합 분야와 고수익 맞춤형 사업 모델로 해외사업을 다각화해 에너지 신사업의 글로벌 선도자가 되고자 합니다.

화력

10개국 14개 사업

18,977MW
운영
14,062MW
건설
4,915MW

주요 사업 수주실적

2024

사우디아라비아

루마/나이리야 가스복합사업(3,780MW) 수주

2022

사우디아라비아 사우디아라비아

자푸라 열병합사업(317MW) 수주

2020

베트남 베트남

붕앙2 석탄화력사업(1,200MW) 수주

2019

미국 미국

괌 우쿠두 가스복합 화력(198MW) 수주

인도네시아 인도네시아

자바 9&10 석탄화력(2,000MW) 수주

2017

말레이시아 말레이시아

플라우인다 가스복합화력(1,200MW) 수주

2013

나이지리아 나이지리아

액빈발전소 지분인수 및 O&M 사업(1,320MW)

베트남 베트남

응이손Ⅱ 석탄화력(1,200MW) 수주

2011

요르단 요르단

암만디젤내연 발전(573MW) 수주

2010

UAE UAE

슈웨이핫S3 가스복합발전(1,600MW) 수주

멕시코 멕시코

노르테Ⅱ 가스복합발전(433MW) 수주

2009

사우디아라비아 사우디아라비아

라빅 중유발전(1,204MW) 수주

2008

필리핀 필리핀

세부 석탄화력(200MW) 수주

멕시코 멕시코

알카트라나 가스복합발전(373MW) 수주

2007

중국 중국

격맹국제(산서) 합자사업

2004

필리핀 필리핀

SPC 합자사업(350MW)

1996

필리핀 필리핀

일리한 발전소 건설·운영사업(612MW)

1995

필리핀 필리핀

말라야 발전소 성능복구사업(650MW)

원자력

UAE 1개 사업

5,600MW
건설
5,600MW

UAE 원전사업 개요

계약일
2009.12.17
발주처
ENEC(UAE원자력공사)
주계약자
한국전력공사
공급범위
한국형원전(APR1400) 4기 건설(5,600MW) + 핵연료(초기+2주기) + 운영지원 등
사업법인
BOC(ENEC 82%, 한전 18%)
운영법인
NEC(ENEC 82%, 한전 18%)
위치
아부다비 서쪽 270km

UAE 원전 건설 주요공정 현황

2023

3호기 상업운전 개시

2022

2호기 사업운전 개시

3호기 운영허가 취득

3호기 연료장전

2021

1호기 상업운전 개시

2호기 연료장전

2020

1호기 연료장전

2019

2호기 CRFL

3호기 고온기능시험착수

2018

3-4호기 초기 전원기압

2호기 고온기능시험 착수

2017

1호기 건설역무 종결

1호기 최초연료반입

2호기 상온수압시험 착수

4호기 원자로 설치

2016

1호기 상온수압 시험착수

1호기 고온기능 시험착수

4호기 최초 콘크리트 타설

2015

1호기 전원기압

2호기 원자로 설치

4호기 최초 콘크리트 타설

2013-2014

2호기 최초 콘크리트 타설

1호기 원자로 설치

3호기 최초 콘크리트 타설

2009-2012

사업착수

기초굴착

1호기 최초 콘크리트 타설

재생에너지

6개국 7개 사업

4,078MW
운영
2,428MW
건설
1,650MW

주요 사업 수주실적

2024

사우디아라비아

사다위 태양광사업(2,000MW) 수주

2024

미국

괌 요나 ESS 연계 태양광 사업(132MW) 수주

2019

멕시코 멕시코

태양광(294MW) 개발사업 수주

2018

미국 미국

캘리포니아 태양광발전소(235MW) 인수

2017

미국 미국

괌 태양광 사업(60MW)

2016

일본 일본

치토세 태양광 사업(28MW)

중국 중국

요녕성 객좌태양광 사업(7MW)

2013

요르단 요르단

푸제이즈 풍력발전(89MW)

2005

중국 중국

중국 내몽고/요녕/감숙성 풍력발전(1,017W)

추가 수주실적

2023

모잠비크 모잠비크

테트주 MG시스템 구축

인도네시아 인도네시아

서자와주 AMI 구축 사업

도미니카 공화국 도미니카 공화국

배전자동화 시스템 구축

온두라스 온두라스

스마트 배전망 구축

도미니카 공화국 도미니카 공화국

5차 배전변전소 EPC

방글라데시 방글라데시

Jamuna 강 횡단 송전선로 건설 컨설팅

2021

도미니카 공화국 도미니카 공화국

배전자동화 타당성

미얀마 미얀마

전력환경 개선

온두라스 온두라스

그린에너지섬 구축

2020

탄자니아 탄자니아

주파수 조정용 ESS구축 상세기획 지원사업

인도네시아 인도네시아

스마트 에너지 인프라 사업모델 개발 타당성 조사

인도네시아 인도네시아

스마트 에너지 인프라 사업모델 개발 사전 타당성 조사

방글라데시 방글라데시

식수설비 CDM

온두라스 온두라스

배전자동화시스템을 위한 마스터플랜 수립 상세기획

페루 페루

배전망 효율개선 F/S

동티모르 동티모르

전력손실 감소 컨설팅

주요 사업 수주실적

2023

온두라스 온두라스

스마트 배전망 구축

도미니카 공화국 도미니카 공화국

5차 배전변전소 EPC

방글라데시 방글라데시

Jamuna 강 횡단 송전선로 건설 컨설팅

2021

도미니카 공화국 도미니카 공화국

배전자동화 타당성

미얀마 미얀마

전력환경 개선

온두라스 온두라스

그린에너지섬 구축

2020

인도네시아 인도네시아

스마트 에너지 인프라 사업모델 개발 타당성 조사

인도네시아 인도네시아

스마트 에너지 인프라 사업모델 개발 사전 타당성 조사

방글라데시 방글라데시

식수설비 CDM

온두라스 온두라스

배전자동화시스템을 위한 마스터플랜 수립 상세기획

페루 페루

배전망 효율개선 F/S

동티모르 동티모르

전력손실 감소 컨설팅

2019

도미니카 공화국 도미니카 공화국

배전 EPC 사업(EIB)

도미니카 공화국 도미니카 공화국

배전 EPC 사업(WB)

방글라데시 방글라데시

765kV 송전망 사업타당성조사

방글라데시 방글라데시

송전망건설 컨설팅

타지키스탄 타지키스탄

전력망구축 컨설팅

2018

미얀마 미얀마

500kV 송전망 가선공사 컨설팅

2017

에티오피아 에티오피아

남부전력망 확충 사업타당성조사

우즈베키스탄 우즈베키스탄

SCADA/EMS 컨설팅

필리핀 필리핀

북부지역 배전선로 승압사업

2016

캄보디아 캄보디아

배전망 건설 컨설팅 사업

가나 가나

송변전 인력양성 인프라 구축사업

2013

이집트 이집트

배전자동화 구축사업

2011

카자흐스탄 카자흐스탄

송변전EPC 사업

부탄 부탄

변전EPC 사업

인도 인도

EPC 사업

도미니카 공화국 도미니카 공화국

배전 EPC 사업

2002

필리핀 필리핀

배전계통 개선 타당성 조사사업

2002

미얀마 미얀마

전력망 진단 및 개발조사 사업

추가 수주실적

2020

온두라스 온두라스

과나하섬 그린 에너지섬 구축

에티오피아 에티오피아

FR-ESS 구축 타당성조사

모잠비크 모잠비크

계통안정화 ESS 구축

말레이시아 말레이시아

AMI 진출 타당성조사

에티오피아 에티오피아

FR- ESS 도입 및 계통안정도 개선 컨설팅

주요 사업 수주실적

2023

모잠비크 모잠비크

테트주 MG시스템 구축

도미니카 공화국 도미니카 공화국

서자와주 AMI 구축 사업

도미니카 공화국 도미니카 공화국

배전자동화 시스템 구축

2022

사우디아라비아 사우디아라비아

과나하섬 MG 구축사업

2021

UAE UAE

HVDC 해저송전망 사업

2020

탄자니아 탄자니아

주파수 조정용 ESS구축 상세기획 지원사업

인도네시아 인도네시아

스마트 에너지 인프라 사업모델개발 F/S

인도네시아 인도네시아

스마트 에너지 인프라 사업모델개발 Pre-F/S

방글라데시 방글라데시

식수설비 CDM 사업

2019

미얀마 미얀마

에너지자립형마을 구축

캄보디아 캄보디아

MG 및 충전소 구축

에콰도르 에콰도르

갈라파고스 MG 구축사업

2018

미얀마 미얀마

쿡스토브 CDM 사업

바베이도스 바베이도스

K-BEMS 구축사업

탄자니아 탄자니아

스마트 전력수요관리사업

에콰도르 에콰도르

갈라파고스 MG 구축사업

스리랑카 스리랑카

AMI 구축사업

방글라데시 방글라데시

치타공 등 4개도시 GIS 구축사업

2017

도미니카 공화국 도미니카 공화국

배전 신사업 모델개발 F/S

에티오피아 에티오피아

친환경타운 MG구축

스리랑카 스리랑카

AMI 구축사업

미국 미국

괌 ESS EPC 컨설팅

2016

에티오피아 에티오피아

친환경 에너지 타운 F/S

몽골 몽골

친환경 에너지 타운 F/S

페루 페루

독립형 MG 구축 타당성조사 및 현지실증사업

2015

도미니카 공화국 도미니카 공화국

스마트배전 EPC사업

부탄 부탄

지능형변전소 EPC사업

UAE UAE

스마트시티 건설사업

나이지리아 나이지리아

GIS DB 구축사업

캐나다 캐나다

MG 시범사업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만족하셨습니까?
  • 담당부서
    해외사업개발단 사업기획부
    담당자
    길지선
    연락처
    061-345-5813
최종업데이트일 : 2025-06-28

잠시후 자동 로그아웃됩니다.

로그아웃까지 남은 시간 :

59

  • 로그인 후 10분간 사용이 없으실 경우, 자동 로그아웃됩니다.

  • 로그아웃을 원하지 않으실 경우, [로그인 연장]를 클릭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