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01 가공송전
높이 뻗은 철탑, 전력을 잇다
가공송전은 지지물(철탑, 관형주 등)을 세우고 그 위에 전선을 설치해 전기를 전달하는 방식입니다. 주로 765kV, 345kV, 154kV 같은 고전압을 사용하여 전력을 효율적으로 전송하며, 안전한 절연물(애자)을 통해 전기를 전선 위에서만 흐르게 하는 지상 전력망입니다.
전국사업소
한 눈에 보기관련사이트
안전하고 효율적인, 고품질 전력공급
안전하고 깨끗한 전기가 우리의 일상과 연결되기까지,
신뢰도 높은 전력계통 구축을 통한
안정적 전력공급을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AI와 데이터 분석, 예방진단 시스템 등을 활용해
지속 가능하고 안정적인 전력 인프라를 구축하고 있습니다.
신뢰도 높은 전력계통의 구축과 운영을 통해 전기를 효율적으로 전달합니다.
가공송전은 지지물(철탑, 관형주 등)을 세우고 그 위에 전선을 설치해 전기를 전달하는 방식입니다. 주로 765kV, 345kV, 154kV 같은 고전압을 사용하여 전력을 효율적으로 전송하며, 안전한 절연물(애자)을 통해 전기를 전선 위에서만 흐르게 하는 지상 전력망입니다.
지중송전은 전력케이블을 전력구, 관로, 맨홀 등에 설치해 전기를 전달하는 방식입니다. 345kV, 154kV 같은 고전압을 사용하며 주로 인구가 밀집된 지역에 중간에 설치된 접속함을 통해 케이블을 연결해 전력을 공급하는 지하전력망 입니다.
전압과 주파수를 조정하고 전력의 흐름을 조율하여 전력망의 안정적 운영에 기여합니다.
변전소는 발전소에서 생산된 전력을 고객이 사용하는 전압으로 변환해 주는 역할을 합니다. 디지털변전소는 이러한 변전소를 구성하는 변압기, 개폐장치, 보호설비 등 전력설비 간의 정보 전달을 디지털화하여 설비이상 자가진단, 정전고장 자동복구 등 지능형 변전소 구현을 가능하게 하는 디지털 인프라 입니다.
계통안정화 설비는 전력 공급의 안정성을 높이기 위한 장치입니다. 전력을 저장해 필요할 때 공급하여 에너지 효율 및 수요 변동 불안정 완화에 도움을 주는 ESS와 전력 흐름을 제어해 송전 선로 효율 극대화 및 전압 변동 최소화로 안정적 송전을 지원하는 FACTS가 있습니다.
전력 설비에 센서와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분석해 설비 이상을 사전에 감지하고 고장을 예방하는 시스템입니다. GIS, 변압기, 지중송전 케이블 등의 온라인/오프라인 데이터를 종합해 설비 상태를 판단합니다.
교류(AC)에서 직류(DC)로, 새로운 혁신을 통해 더 멀리, 더 효율적으로 전력을 수송합니다.
변환은 반도체 소자를 이용해 교류(AC)를 직류(DC)로 바꿔주는 기술입니다. 해외 선진 전력회사와의 협력 및 기술이전, 산학연 국책과제를 통해 국산화와 기술개발을 활발히 진행하고 있습니다.
DC기술의 발전을 통해 AC송전에 비해 강점이 있는 사업에 대해서는 DC송전을 적극 도입하고 있습니다. 가공송전의 경우 국내 최장거리인 동해안-수도권 HVDC선로사업을 추진중이며, 지중송전의 경우 국내 케이블 제작사와 협력을 통해 세계 5위 수준의 HVDC 지중송전 기술을 확보하고 상용화를 추진하고 있습니다.
안전하고 효율적인 배전망 구축을 통해
편리한 에너지를 일상으로 연결시킵니다.
효율적인 배전망 연계 시스템을 통해 안정적인 전력 공급을 실현합니다.
배전건설은 전력 수요 증가에 맞춰 전력 인프라를 구축하는 과정입니다. 친환경 기자재와 ICT기술, 신소재를 활용해 안전하고 신뢰도 높은 전력 설비를 건설하며, 직류배전 방식 등 선진 배전계통 구성방식을 연구하고 있습니다.
분산에너지법 제정으로 지역 단위의 수요·공급 시스템 전환이 추진되고 있습니다. 한국전력공사는 배전망의 안정적 운영을 위해 장기 배전계획 및 배전망 운용을 위한 방침 (규칙) 을 수립하고, 분산에너지 감시 · 제어시스템 등 미래 배전망 기술을 개발하여 효율적인 전력 공급을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지능형 배전망은 재생에너지 확산과 유연자원 증가로 복잡해진 양방향 계통을 실시간으로 감시·제어하는 시스템입니다. 실시간 계통해석을 통해 운영 정확도를 높이고, 재생에너지 변동에 즉각 대응해 배전망의 효율적인 운영을 지원합니다.
작업자와 소비자를 고려하는
안전하고 불편없는 배전망을 운영합니다.
정전 예방을 위해 한국전력공사는 배전설비 점검, AI 활용 설비진단, 전력설비 화재 예방, 고객 수전설비 열화상 진단 지원 등 다양한 활동을 통해 전기 품질을 향상시키고 있습니다.
한국전력공사는 감전사고 예방을 위해 절연장갑 대신 절연스틱을 활용한 비접촉 활선작업을 확대하고 있습니다. 절연스틱 관련공구와 기자재를 개발해 모든 배전공사 현장에서 적용 가능하며, 작업성과와 경제성을 고려한 새로운 공사 방법도 지속적으로 발굴 중입니다.
휴전작업은 전기를 차단해 안전하게 작업하며, 작업 시간을 단축하는 방식입니다. 한국전력공사는 휴전 대상 고객에게 사전 안내를 제공하고, App과 홈페이지로 정보를 제공하며, 고객 불편을 최소화하고 있습니다.
디지털 플랫폼을 통해 고객에게
전력 데이터를 투명하게 제공합니다.
한국전력공사는 ‘파워플래너’ 플랫폼을 통해 원격검침(AMI) 고객에게 스마트폰이나 PC로 실시간 전력 사용량, 사용 패턴 분석, 사용량 목표 알림, 이웃 간 비교 등 다양한 전기요금 예상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한국전력공사는 스마트미터링을 통해 전자식 전력량계를 사용하여 실시간 전력 사용량과 예상 요금 등의 정보를 고객에게 제공합니다. 이를 통해 고객이 자발적으로 에너지를 절감할 수 있도록 돕고, 배전망 변동에도 안정적으로 대응하고 있습니다.
구분 | 2024년 | 2020년 | 2015년 | 2010년 | 2000년 | 1990년 | |
---|---|---|---|---|---|---|---|
송전선로 (AC) |
765kV | 1,024 | 1,024 | 1,014 | 835 | 595 | - |
345kV | 10,070 | 9,812 | 9,403 | 8,580 | 7,281 | 4,935 | |
154kV 이하 | 24,270 | 23,485 | 22,524 | 21,261 | 18,706 | 14,497 | |
소계 | 35,364 | 34,322 | 32,941 | 30,676 | 26,582 | 19,432 | |
송전선로 (DC) |
500kV | 35 | - | - | - | - | - |
250kV | 226 | - | - | - | - | - | |
180kV | 231 | - | - | - | - | - | |
소계 | 492 | - | - | - | - | - | |
변전용량(MVA) | 368,758 | 332,470 | 298,294 | 256,318 | 125,700 | 51,685 | |
변전소 수(개소) | 925 | 868 | 822 | 731 | 483 | 319 |
구분 | 2024년 | 2023년 | 2022년 | 2021년 | 2020년 | 2019년 | 2018년 |
---|---|---|---|---|---|---|---|
긍장(c-Km) | 549,963 | 542,567 | 535,241 | 525,587 | 514,778 | 504,403 | 493,330 |
지지물(천기) | 10,251 | 10,178 | 10,084 | 9,940 | 9,787 | 9,642 | 9,465 |
변압기(천대) | 2,589 | 2,535 | 2,489 | 2,386 | 2,379 | 2,325 | 2,260 |
잠시후 자동 로그아웃됩니다.
로그아웃까지 남은 시간 :
59초
로그인 후 10분간 사용이 없으실 경우, 자동 로그아웃됩니다.
로그아웃을 원하지 않으실 경우, [로그인 연장]를 클릭해주세요.